본문 바로가기
질환

비전형적 발작: 간질과 혼동되는 소아 발작의 진단과 관리

by info-med-nurse 2025. 2. 8.

1. 간질과 비전형적 발작의 구분 필요성

소아에서 발작이 발생하면 흔히 간질을 의심하게 되지만, 모든 발작이 간질로 진단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소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발작 증상 중 상당수는 간질이 아닌 비전형적 발작(atypical seizures)이며, 이러한 발작은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간질과 혼동될 수 있는 발작을 적절히 감별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항경련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과 보호자는 비전형적 발작의 주요 특징과 진단 방법을 숙지하고, 적절한 관리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비전형적 발작: 간질과 혼동되는 소아 발작의 진단과 관리

2. 비전형적 발작이란?

비전형적 발작이란 간질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신경학적 이상이나 뇌전증(간질) 파형이 관찰되지 않는 발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작은 주로 일과성 증상으로 나타나며, 특정한 유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주요 특징

  •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
  • 신경학적 검사에서 특이 소견이 없음
  • 뇌파검사(EEG)에서 간질성 이상이 발견되지 않음
  • 스트레스, 피로, 특정 음식 섭취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음

3. 비전형적 발작과 감별해야 할 주요 질환

비전형적 발작은 다양한 신경학적 및 비신경학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간질과 감별해야 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다음과 같다.

① 열성 경련(Febrile Seizures)

  • 특징: 고열이 동반된 소아에서 발생하며, 보통 5세 이하에서 나타남.
  • 감별 방법: 발작이 열과 동반되는지 여부 확인, EEG 검사에서 간질 파형 없음.
  • 관리 방안: 해열제 사용 및 감염 예방을 통해 발작 예방.

② 기절(Syncope, 실신 발작)

  • 특징: 혈압 저하로 인해 의식 소실이 일어나며, 간질성 발작과 혼동될 수 있음.
  • 감별 방법: 기립성 저혈압 검사, 심전도(EKG) 검사 필요.
  • 관리 방안: 수분 섭취 증가, 기립 시 주의.

③ 수면 관련 이상 행동(Parasomnias, 야경증 및 몽유병)

  • 특징: 수면 중 발생하며, 환아가 갑자기 놀라거나 몽유병 증상을 보일 수 있음.
  • 감별 방법: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를 통해 간질성 발작과 감별.
  • 관리 방안: 수면 환경 개선, 수면 위생 교육.

④ 정신과적 원인(심인성 비간질성 발작, PNES)

  • 특징: 심리적 스트레스가 주된 유발 요인이며, EEG에서 간질성 이상이 나타나지 않음.
  • 감별 방법: 심리 평가, 영상 검사를 통한 감별 진단 필요.
  • 관리 방안: 정신과적 상담 및 심리 치료 병행.

⑤ 위장관 문제로 인한 발작 유사 증상

  • 특징: 소화기 이상으로 인해 어지러움이나 일시적 의식 소실 발생.
  • 감별 방법: 위내시경, 혈액 검사 등을 통해 확인.
  • 관리 방안: 식습관 개선 및 위장 질환 치료.

4. 비전형적 발작의 진단 과정

비전형적 발작을 정확히 감별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병력 청취와 객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① 병력 조사(Anamnesis)

  • 발작 발생 상황, 지속 시간, 유발 요인 등을 기록
  • 가족력 및 기존 질환 확인

② 신경학적 검사

  • 신체 반사 검사 및 신경학적 이상 유무 평가
  • 기립성 저혈압 검사 등을 활용하여 실신과 감별

③ 뇌파검사(EEG)

  • 간질성 이상 파형이 있는지 확인
  • 비전형적 발작의 경우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음

④ 심전도 검사(EKG) 및 기타 영상 검사

  • 심장 이상이 동반되는지 확인
  • 뇌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통해 구조적 이상 평가

⑤ 심리 평가

  • 스트레스, 불안, 트라우마 등 심리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지 평가

5. 비전형적 발작 관리 전략

① 유발 요인 피하기

  • 특정 음식(카페인, 방부제 포함 식품)이나 수면 부족 등의 환경적 요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함.

② 생활 습관 개선

  • 규칙적인 수면 패턴 유지, 균형 잡힌 식사, 스트레스 관리 필요.

③ 보호자 교육

  • 부모 및 교사가 발작 발생 시 올바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 응급 상황에서 불필요한 약물 사용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

④ 필요 시 심리 치료 병행

  • 심리적 요인이 원인일 경우, 정신과적 상담 및 인지 행동 치료 시행.

⑤ 지속적인 모니터링

  • 증상이 재발하는지 여부 확인.
  • 필요한 경우 정기적인 신경과 검진을 통해 상태 평가.

6. 올바른 감별과 관리가 핵심

소아에서 나타나는 발작은 반드시 간질로 진단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비전형적 발작이 존재한다. 이러한 발작을 정확히 감별하고 관리하는 것은 환아의 불필요한 약물 사용을 줄이고,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호자와 의료진은 다양한 발작 유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선의 치료 및 간호 전략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