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소아 간질중첩증의 약물치료: 주요 약물과 부작용 관리

by info-med-nurse 2025. 2. 3.

벤조디아제핀 등 약물의 사용 기준과 간호사의 역할

간질중첩증(Status Epilepticus, SE)은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발작 사이에 의식이 회복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소아에서 SE는 빠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 장기적인 인지 장애,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응급 질환입니다.

SE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약물 투여와 발작 조절입니다. 초기 치료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s)**이 사용되며, 이후 2차 및 3차 항경련제를 단계적으로 적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약물의 부작용과 내성, 개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최적화된 치료 전략이 필요하므로, 간호사는 약물 투여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소아 간질중첩증의 약물 치료 과정, 주요 항경련제의 사용 기준과 부작용, 그리고 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상세히 논의하겠습니다.


1. 소아 간질중첩증의 약물 치료 단계

SE의 약물 치료는 3단계로 구분됩니다.

1) 1단계: 초기 응급 치료 (5분 이내) – 벤조디아제핀 계열 투여

  • 목표: 신속한 발작 중단
  • 주요 약물:
    • 로라제팜(Lorazepam, IV): 1차 선택약 (반감기가 길어 효과 지속)
    • 미다졸람(Midazolam, IM/IV/부콜/비강 내): 정맥 접근이 어려울 경우 사용
    • 디아제팜(Diazepam, IV/직장 투여): 응급실 도착 전 사용 가능

벤조디아제핀은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발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호흡 억제, 저혈압, 진정 효과 등의 부작용이 있어, 간호사는 환자의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2) 2단계: 1차 치료 실패 시 (10~20분) – 2차 항경련제 투여

  • 목표: 벤조디아제핀 단독 치료에 실패한 경우, 추가적인 발작 억제
  • 주요 약물:
    • 레비티라세탐(Levetiracetam, IV): 신속한 작용,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음
    • 발프로산(Valproic Acid, IV): 대사 장애 환자 제외
    • 페니토인/포스페니토인(Phenytoin/Fosphenytoin, IV): 심혈관계 부작용 주의

2차 치료 단계에서는 환자의 기저 질환 및 전신 상태를 고려한 약물 선택이 중요하며, 간호사는 심혈관 및 간 기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3) 3단계: 난치성 간질중첩증 (30분 이상) – 마취제 사용

  • 목표: 치료 저항성 발작(발작 지속 30분 이상)에 대한 적극적 개입
  • 주요 약물:
    •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IV)
    • 프로포폴(Propofol, IV)
    • 티오펜탈(Thiopental, IV)

이 단계에서는 환자의 인공호흡기 유지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중환자실(ICU)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2. 주요 약물의 작용 기전 및 부작용 관리

소아 SE 치료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약물작용 기전주요 부작용간호 중재

로라제팜 GABA 활성화 호흡 억제, 저혈압, 진정 효과 호흡수, 산소포화도 지속적 모니터링
미다졸람 GABA 활성화 호흡 억제, 졸림, 저혈압 산소 공급, 기도 유지 필요
레비티라세탐 신경 전달 조절 졸음, 공격성, 신장 기능 저하 가능 정기적 신장 기능 검사
발프로산 GABA 증가, 나트륨 채널 차단 간 독성, 혈소판 감소증 간 기능 검사, 출혈 여부 확인
페니토인 나트륨 채널 차단 심혈관계 부작용, 치은 비대 심전도 모니터링, 구강 관리 필요
페노바르비탈 GABA 활성화 진정, 호흡 억제, 저혈압 중환자실에서 모니터링 필수
프로포폴 GABA 활성화 저혈압,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 혈압과 심장 모니터링

3. 간호사의 역할: 약물 투여 및 모니터링

소아 SE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생체징후를 면밀히 평가하고, 약물 부작용을 신속하게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1) 응급 상황에서의 간호 중재

  • 신속한 정맥로 확보
  • 벤조디아제핀 투여 후 호흡 상태 및 산소포화도(SpO₂) 모니터링
  • 필요 시 산소 공급 및 기도 유지

2) 약물 부작용 관리

  • 심혈관계 부작용(저혈압, 부정맥):
    • 페니토인, 프로포폴 사용 시 심전도(EKG) 모니터링 필수
  • 호흡 억제:
    • 벤조디아제핀, 페노바르비탈 사용 후 저호흡 발생 여부 확인
  • 신경학적 변화:
    • 환자의 의식 상태 변화, 졸림, 인지 기능 저하 여부 평가

3) 보호자 교육 및 퇴원 후 관리

  • 응급 발작 발생 시 가정 내 대처법 교육
    • 디아제팜 직장 투여법, 미다졸람 비강 투여법 안내
  • 정기적인 신경과 방문 및 약물 복용 안내
  •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병원 방문 유도

소아 간질중첩증의 약물치료: 주요 약물과 부작용 관리

4. 소아 간질중첩증의 효과적인 약물 치료와 간호 관리

소아 간질중첩증(SE)은 즉각적인 치료가 생존율과 신경학적 예후를 결정짓는 질환입니다. 치료의 핵심은 벤조디아제핀을 포함한 단계적 약물 치료 전략이며, 간호사는 약물 투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특히, 호흡 억제, 심혈관계 부작용, 간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며, 환아와 보호자의 교육을 통해 가정에서도 효과적인 발작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간호 개입을 통해 SE 환아의 예후를 개선하고, 장기적인 건강 관리를 도울 수 있도록 다학제적 협력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