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응급 상황에서의 간질발작 관리: 단계별 대처 매뉴얼

by info-med-nurse 2025. 2. 6.

간질발작 발생 시 의료진과 보호자의 협력적 대응법


1. 서론: 간질발작 응급 대응의 중요성

간질발작(Epileptic Seizure)은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응급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부상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 간질 환아의 경우, 보호자와 의료진이 발작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간질발작을 목격했을 때 당황하거나, 오히려 위험한 행동(억지로 입을 벌려 손을 넣는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응급처치 방법을 익히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간질발작이 발생했을 때 보호자와 의료진이 단계별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설명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과 지속적인 간호 관리의 필요성을 논의하겠습니다.


2. 간질발작의 유형별 응급 대응

간질발작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 유형별로 적절한 대처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발작이 발생했을 때 어떤 종류인지 빠르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전신 강직-간대발작(Grand Mal Seizure, 강직성-간대성 발작) 대처법

특징:

  • 의식을 잃고 쓰러지며 몸 전체가 강직(경직) 후 간대성(경련) 움직임을 보임
  •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음
  • 입에서 거품이 나거나 혀를 깨물 가능성이 있음

응급 대응 단계
🔹 1단계: 주변 환경 정리

  • 환아가 다치지 않도록 날카로운 물건을 치운다.
  • 머리 아래에 부드러운 것을 받쳐 충격을 최소화한다.

🔹 2단계: 환아를 안전한 자세로 유지

  • 억지로 눕히거나 강제로 잡지 않는다.
  • 고개를 한쪽으로 돌려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한다.

🔹 3단계: 위험한 행동 방지

  • 억지로 입을 벌리지 않는다 (손가락이나 물체를 넣으면 오히려 기도를 막을 수 있음).
  • 간질 발작은 일반적으로 1~3분 내에 멈추므로 경과를 지켜본다.

🔹 4단계: 발작 지속 여부 확인 후 병원 이송

  • 5분 이상 지속되면 간질중첩증(Status Epilepticus)의 위험이 있으므로 119에 즉시 연락한다.
  • 발작이 멈춘 후에도 환아가 의식을 되찾을 때까지 보호하며, 필요하면 병원으로 이송한다.

2) 결신발작(Absence Seizure) 대처법

특징:

  • 몇 초 동안 멍해지며 반응이 없음
  • 짧은 시간 후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환아는 발작 사실을 인지하지 못함

응급 대응 방법
🔹 발작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 후, 평소와 다른 점이 없는지 확인한다.
🔹 학습 중이라면 발작 후 내용을 다시 설명해 주어 학습 공백을 최소화한다.
🔹 발작이 반복되거나 하루에 여러 차례 발생하면 신경과 전문의 상담이 필요하다.


3) 부분 발작(Partial Seizure) 대처법

특징:

  • 신체 일부(예: 한쪽 팔 또는 다리)만 떨리거나 이상한 움직임을 보임
  • 의식이 명확하거나 혼란스러울 수 있음

응급 대응 방법
🔹 환아를 조용한 곳으로 유도하고, 외부 자극을 최소화한다.
🔹 낙상 위험이 없는지 확인하며, 필요하면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한다.
🔹 발작이 끝난 후에도 의식이 혼란스럽다면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한다.


3. 보호자와 의료진의 협력적 대응

간질 환아의 응급 관리는 가정, 학교, 병원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1) 보호자의 역할

발작 발생 시 즉각적인 응급 대처

  • 환아의 상태를 기록하고, 발작 지속 시간을 확인
  • 필요하면 119에 연락하여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

발작 일지(Seizure Diary) 작성

  • 발작 발생 시간, 지속 시간, 특징 등을 기록하여 의사에게 제공
  • 발작 패턴을 파악하는 데 도움

학교 및 지역사회와 협력

  • 교사 및 친구들에게 간질발작 응급 대처법을 교육
  • 환아가 차별받지 않도록 인식 개선 노력

2) 의료진(간호사 및 의사)의 역할

응급실에서의 신속한 치료

  • 5분 이상 지속되는 발작(간질중첩증) 발생 시 벤조디아제핀(Diazepam, Lorazepam) 투여
  • 발작 후 환아의 기도 상태 확인 및 산소 공급

응급처치 교육 및 보호자 상담

  • 보호자에게 올바른 응급 대처법을 교육
  • 발작 예방을 위한 약물 조정 및 생활 관리 지도

학교 간호사의 역할

  • 교사 및 학생 대상 간질 교육 프로그램 운영
  • 발작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및 보호자에게 연락

4. 발작 후 회복 단계에서의 관리

발작이 멈춘 후 환아가 안전하게 회복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회복자세 유지

  • 환아를 옆으로 눕혀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한다.
  • 의식이 완전히 돌아올 때까지 보호자가 곁에서 지켜본다.

의식 회복 후 상태 확인

  • 발작 후 환아가 극심한 혼란을 보이거나 호흡 곤란이 있다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
  • 평소보다 피로감을 많이 호소할 수 있으므로 휴식을 취하도록 돕는다.

추가적인 의료 평가

  • 첫 발작이거나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 신경과 진료 및 뇌파검사(EEG) 필요
  • 지속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한지 검토

5. 발작 응급 대응 능력을 키우는 것이 생명을 살린다

간질발작은 적절한 응급 대처가 이루어지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 응급 대응 원칙 요약
✅ 침착하게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 안전을 확보
✅ 발작 지속 시간을 기록하고, 5분 이상이면 119 연락
✅ 기도를 보호하고, 억지로 억제하지 않기
✅ 발작 후 회복 자세 유지 및 병원 방문 여부 판단

보호자와 의료진이 협력하여 간질 환아의 응급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면, 발작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고 환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응급 상황에서의 간질발작 관리: 단계별 대처 매뉴얼